K200 장갑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200 장갑차는 대한민국 육군이 운용하는 한국형 보병전투차(KIFV)로, 1981년 개발이 시작되어 1985년에 생산이 시작되었다. 이 장갑차는 미국의 M113 장갑차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수륙양용 능력을 갖추고 AIFV의 섀시를 기반으로 한다. K200은 다양한 파생형을 통해 여러 임무를 수행하며, K200A1과 같은 개량형도 존재한다. K200은 대한민국 육군 외에도 말레이시아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기계화 보병 소대를 수송하고 소화기 사격으로부터 병력을 보호하도록 설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기갑 전투 차량 - K-21
K-21은 대한민국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개발되어 대한민국 육군에 배치되기 시작한 차세대 보병전투차로, 40mm 기관포와 대전차 미사일로 무장하고 수륙양용 능력까지 갖춘 것이 특징이며,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K21-105 경전차, AS21 레드백 등의 파생형이 개발되었다. - 대한민국의 기갑 전투 차량 - 비호복합
비호복합은 대한민국에서 개발되어 실전 배치된 자주대공포 복합체계로, 레이더, 30mm 대공포, 신궁 지대공 미사일을 탑재하여 저고도 침투 항공기 요격에 사용되며, 수출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입찰 취소 가능성도 있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K200 장갑차 | |
---|---|
개요 | |
![]() | |
종류 | 병력수송장갑차 |
원산지 | 대한민국 |
사용 | 운용국 참고 |
설계 | 국방과학연구소 |
제조사 | 한화 디펜스 (원래 대우중공업, 두산 DST로 이름 변경 후 한화 디펜스 시스템으로 변경) |
생산 기간 | 1985년 - 현재 |
생산 대수 | 2,383대 |
대당 가격 | 141만 미국 달러 (국내) 132만 미국 달러 (수출) |
제원 | |
승무원 | 3명 + 9명 (탑승 병력) |
길이 | 5.49 m |
폭 | 2.85 m |
높이 | 2.52 m |
중량 | 13.2 톤 |
무장 | |
주무장 | 1 x M2 중기관총 |
부무장 | 1 x M60 또는 K12 기관총 |
기동 | |
엔진 | MAN-두산 D2848T 350 마력 (261 kW) @ 2,300 rpm |
변속기 | 앨리슨 트랜스미션 X200-5K |
현가 장치 | 토션 바 |
속도 | 70 km/h 수상 6 km/h |
중량 대비 출력 | 26.5 마력/톤 |
항속 거리 | 480 km |
파생형 | |
파생형 | K200A1 |
운용 | |
운용 기간 | 1986년–현재 |
사용 국가 | 운용국 참고 |
참전 | 보스니아 내전 |
운용국 | |
운용국 | 대한민국 국군 |
2. 역사
1981년 대한민국 육군이 미래의 전투 요건에 맞는 새로운 한국형 보병전투차(KIFV)에 대한 요구를 발표하면서 K200 사업이 시작되었다.[1]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을 담당했고, 대우중공업이 주 생산 계약자로 선정되었다.[1] K200은 미국의 AIFV 섀시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얕은 강을 건널 수 있는 수륙양용 능력을 갖추었다.[1][17]
K200은 1985년부터 생산에 들어가[6][20] 2006년에 양산이 완료되었다.[1][17] 이 과정에서 두산(구 대우중공업)은 MAN 엔진을, S&T중공업은 앨리슨 변속기 기어박스를 라이선스 생산하며 기술을 축적했고, 이는 차기 보병전투차인 K21 개발에 중요한 경험이 되었다.[4][15][5][19]
2017년 10월, 한화는 K200을 모듈형 다목적 차량으로 전환하는 자체적인 개량 프로젝트를 공개하기도 했다.[7]
2. 1. 개발 배경
대한민국 육군은 월남전 참전의 대가로 미국으로부터 M113 장갑차를 공여받아 최초의 기계화 보병 사단을 창설했다.[23] 하지만 1980년대에 이르러 M113이 노후화되면서, 미래 전장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병력수송장갑차(APC)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이에 1981년 대한민국 육군은 한국형 보병전투차(KIFV, Korean Infantry Fighting Vehicle) 개발 계획을 수립했고,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을 주관하게 되었다.[1] 당시 한국은 궤도차량 설계 기술이 거의 전무한 상태여서, 미군의 M113 장갑차 정비 도면을 주요 참고 자료로 활용해야 했다.[24] 개발 초기, 국방과학연구소는 M113 장갑차 정비 경험이 있던 대우중공업(현 두산인프라코어)에 차기 장갑차 개발 참여를 제안하면서 K200 개발이 시작되었다.[25] 대우중공업은 이후 K200 생산의 주 계약자가 되었다.[1]

K200은 M113 장갑차를 기반으로 개량된 미국의 AIFV 섀시를 기초로 설계되었다.[1][17] 얕은 강을 건널 수 있는 수륙양용 능력을 갖추도록 개발되었으며,[1] 개발 목표 중 하나는 AIFV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동등하거나 우수한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K200의 국내 개발 및 생산을 통해 최종 가격은 대당 132만달러에서 141만달러 사이로 결정되었는데,[1][17] 이는 AIFV를 라이선스 생산하거나 직접 수입할 경우 예상되었던 비용(152만달러 ~ 283만달러)보다 상당히 경제적인 수준이었다.[1][18]
엔진의 경우, 두산이 MAN의 D2848T 엔진을 라이선스 생산 계약을 통해 생산하여 탑재했고,[4][15] 변속기는 S&T중공업이 앨리슨 변속기의 X200-5K 기어박스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공급했다.[5][19] 이러한 국내 생산 및 기술 습득 과정은 이후 차기 보병전투차인 K21 개발에 중요한 경험적 자산이 되었다.[4][15]
K200은 1985년부터 양산에 들어가[6][20] 2006년까지 생산이 이루어졌다.[1][17]
2. 2. 개발 과정
월남전에서 사용된 M113 장갑차는 한국 육군이 최초로 운용한 병력수송장갑차(APC)였다. 월남전 참전 대가로 공여받은 M113을 기반으로 한국군은 최초의 기계화 보병 사단을 창설했다.[23] 그러나 한국 지형과 작전 환경에 맞는 독자적인 장갑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당시 한국은 궤도차량 설계 기술이 전무하여, 미군의 M113 장갑차 정비유지 도면이 유일한 참고 자료였다.[24]K200 개발 사업은 1981년 대한민국 육군이 미래 전장 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보병전투차(KIFV, Korean Infantry Fighting Vehicle) 개발 요구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개발은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주도했으며, 당시 M113 장갑차 정비 업체였던 대우중공업(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 주 생산 계약자로 참여하게 되었다.[25][1] 이는 대우중공업 방위산업 부문의 중요한 시작점이 되었다.[25] K200은 미국의 AIFV 장갑 보병 전투차량의 섀시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얕은 강을 건널 수 있는 수륙양용 능력을 갖추도록 개발되었다.[1]
개발 과정에서 경제성 확보는 중요한 목표 중 하나였다. K200은 성능을 크게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AIFV보다 저렴하게 개발되었다. 최종적으로 K200의 국내 개발 및 생산 단가는 대당 132만달러에서 141만달러 수준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AIFV를 라이선스 생산하거나 직접 수입할 경우 예상되었던 가격인 152만달러에서 283만달러보다 상당히 낮은 금액이었다.[1][17][18]
핵심 부품의 국산화 및 기술 확보 노력도 병행되었다. 두산(대우중공업 인수 후)은 독일 MAN사의 D2848T 엔진을 라이선스 생산 계약을 통해 확보하고 국내 부품을 사용하여 기술을 습득했다.[4][15] S&T중공업은 미국 앨리슨 변속기사의 X200-5K 변속기를 라이선스 생산했다.[5][19]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축적된 기술과 경험은 이후 차기 보병전투차인 K21 개발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4][15]
K200 장갑차는 1985년부터 생산에 들어가[6][20], 2006년에 양산이 최종 완료되었다.[1][17]
3. 특징
K200 장갑차는 기계화 보병 소대를 수송하며, 적의 소화기 사격으로부터 병력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되었다.[8][21]
차체는 전체가 용접된 알루미늄 장갑으로 제작되었으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공간을 둔 강철 장갑판이 볼트로 부착된 복합 장갑 구조를 가진다. 이 복합 장갑은 무게를 줄이면서도 더 높은 수준의 방호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4][15] 이를 통해 측면은 12.7mm 탄약, 후면은 7.62mm 탄약에 대한 방호가 가능하며, 지상에서 발생하는 큰 포탄 파편과 대인 지뢰에 대해서도 방호력을 제공한다.[8][21]
엔진 구획은 차량 전방 오른쪽에 위치하며, 격벽(벌크헤드)으로 승무원 및 탑승 공간과 분리되어 있다. 엔진 구획에는 화재 발생 시 조종수가 내부에서 작동시키거나 차량 외부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소화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수륙 양용 작전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공기 흡입구, 공기 배출 루버, 그리고 배기 파이프는 차량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4][15]
생존성 향상을 위해 차체 전면에는 6기의 전기식 연막탄 발사기가 장착되어 있어, 전자 광학 및 적외선 조준 장비에 대한 대응책으로 사용된다. 포탑이 장착된 파생형의 경우, 연막탄 발사기는 포탑 양 측면에 3기씩 분산되어 장착된다.[1][17]
기본 무장으로는 12.7mm 중기관총과 7.62mm 기관총을 장착하여 보병에 대한 화력 지원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8][21] 필요에 따라 20mm 발칸포나 81mm 또는 107mm 박격포를 탑재하여 더 강력한 대인 및 대물 화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9K115-2 메티스-M대전차 미사일 시스템을 장착하여 대전차전 능력을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9][22] 2015년 11월에는 두산과 CMI 방산이 협력하여 K200의 화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Cockerill Protected Weapon Station (CPWS) 포탑 장착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 포탑은 20mm에서 30mm 사이의 기관포(예: CPWS20 20mm, M242 부시마스터, 넥스터 M811, Oerlikon KBA 25mm, M230LF 30mm)와 7.62mm 동축 기관총을 탑재할 수 있다.[10]
K200은 높은 모듈성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특수 장비를 탑재한 파생형 모델 개발이 용이하다. 이를 통해 대공 방어, 차량 회수 등 다양한 종류의 전투 지원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8][21] 차량에는 조종수와 사수를 포함하여 총 12명, 즉 보병 1개 분대 병력을 수송할 수 있다.[8][21]
4. 파생형
K200 장갑차는 기본형 외에도 다양한 임무 수행을 위해 여러 파생형 차량이 개발되었다. 최초 양산형인 K200을 기반으로 엔진과 변속기 성능을 높이고 NBC 방호 능력 등을 추가한 K200A1 개량형이 있으며, 이 K200 및 K200A1 차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계열 차량들이 운용되고 있다.[8][21]
- '''K216''': NBC(화생방) 정찰차. 화학 작용제 탐지 및 분석 장비를 탑재하여 오염 지역 정찰 임무를 수행한다.[8][21]
- '''K221''': 연막 생성 차량. 가시광선 및 적외선 차단 연막을 생성하여 아군을 보호한다.[8][21][28]
- '''K242/K242A1''': 4.2인치(107mm) 박격포 탑재 차량. 화력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8][21] 향후 120mm 박격포 탑재 차량으로 대체될 예정이다.[27][11]
- '''K255''': 155mm 자주포용 탄약 보급 차량으로 제안되었던 모델이다.[8][21]
- '''K263/K263A1/K263A3''': 20mm 벌컨포(KM167A1)를 탑재한 자주대공포. 저고도 방공 임무를 담당한다.[8][21]
- '''K277''': 지휘소 차량. 대대급 부대 지휘 통제를 위한 통신 및 지휘 장비를 탑재하고 차체 높이를 높였다.[8][21]
- '''K281/K281A1''': 81mm 박격포 탑재 차량. 화력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8][21]
- '''K288/K288A1''': 구난 차량. 윈치와 크레인을 장착하여 손상된 차량의 구조 및 정비를 지원한다.[8][21]
4. 1. K200A1

K200 장갑차의 성능 향상형 모델이다. K200이 실전 배치된 후 일선 부대에서 기동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개발되었다. 기존 K200을 기반으로 동력 계통을 개량하여 더 높은 출력의 엔진(D-2848T형, 350마력)과 새로운 변속기(미국 DDA사의 X-200-5D)를 장착했다.[26][21] 엔진 출력이 350마력으로 높아져 톤당 마력비가 26.5 HP/t에 달하며, 이는 동급 장갑차량 중 가장 우수한 수준이다.[26] 또한 NBC 방호 능력과 자동 소화 시스템이 추가되었다.[21]
4. 2. 계열 차량
'''K263A1/A3 자주발칸포'''
K200 차체에 M-167 견인용 발칸포 체계를 탑재한 자주대공포이다. 저공으로 침투하는 적 항공기로부터 아군 부대를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1982년 8월 개발을 시작하여 1986년 7월 무기 체계로 채택되었으며, 약 200여 대가 배치되었다. K263A1은 K200A1 차체를 사용하며, K263A3는 A1의 개량형으로 사격 통제 장치 개선, 전자전 방어 능력 강화, 안전성 향상 등의 특징을 갖는다. 운용 중인 모든 A1 차량은 A3 사양으로 개량되었다.[8][21]
'''K242/K281 박격포 탑재 차량'''
K242는 4.2인치(M30 107mm 박격포) 박격포를, K281은 81mm 박격포를 탑재한 화력 지원 차량이다. 1989년 9월에 채택되었다. K200A1 차체를 기반으로 한 K242A1과 K281A1 모델도 존재한다.[8][21] 대한민국 육군은 향후 120mm 박격포 체계를 개발하여 K200 계열 차체에 탑재할 계획이다.[27][11]
'''K288A1 구난장갑차'''
1988년 12월에 채택된 장갑 구난 차량이다. K200 및 계열 차량의 정비 및 구난 임무를 수행하며, 이를 위해 20톤급 윈치와 3.5톤급 크레인을 장착했다. K200A1 차체를 기반으로 한 K288A1 모델이 운용 중이다.[8][21] 다만, 이 차량으로는 K21이나 K-30 비호, 천마 등 더 무거운 차량은 견인할 수 없어 신형 구난장갑차 개발이 예정되어 있다.
'''K277 지휘장갑차'''
미국의 M577 지휘장갑차를 참고하여 개발된 기계화부대의 대대급 지휘소 차량이다. 다른 K200 계열 차량과 달리 차체 높이가 0.54m 높아 지휘관이 서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부대 지휘를 위해 다양한 안테나 및 통신 장비, 도판, 상황판, 텐트, NBC 방호 시스템 등 지휘에 필요한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8][21] 지휘관을 포함하여 6명의 지휘부 요원이 탑승한다.
'''K216 NBC 정찰 장갑차'''
K200A1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된 NBC 정찰 차량이다. 화학 작용제 자동분석기(MM-1)와 같은 화학 탐지 장비를 탑재하여 화학전 상황에서 정찰 및 오염원 탐지 임무를 수행한다.[8][21] NBC 오염 지역에서의 작전을 위해 차내 기압을 외부보다 높게 유지하는 양압 장치를 갖추고 있다.
'''K221 발연장갑차'''
적의 가시광선 및 적외선 감시 수단으로부터 아군 부대 및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연막을 생성하는 차량이다. 액체 파라핀을 사용하여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연막(90분간 지속)과 분말 흑연을 사용하여 적외선 감시를 막는 연막(30분간 지속)을 생성할 수 있다.[8][21] 도입 단가는 약 7.6억원이며, 2007년 9월부터 실전 배치되었다.[28]
'''K255 탄약보급차량'''
155mm 자주포용 탄약 보급 차량으로 제안되었던 모델이다.[8][21]
5. 운용 국가
-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은 기갑부대의 주력 기계화보병용 보병수송차로 K200 1,700여 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계열차량 800여 대를 포함하여 총 2,500여 대를 운용하고 있다.[14]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군은 K200A1 111대를 운용 중이다.[12][13] 이 장갑차는 보스니아 평화유지군으로 파견된 말레이시아군에 의해 운용되기도 했다.[29]

참조
[1]
웹사이트
The Market for Light Tracked Vehicles (2010~2019)
http://www.forecasti[...]
ForecastInternational
[2]
웹사이트
Doosan DST History
https://web.archive.[...]
Doosan DST
[3]
웹사이트
The Market for Light Tracked Vehicles (2009~2018)
https://docs.google.[...]
ForecastInternational
[4]
웹사이트
Doosan Korean Infantry Fighting Vehicle (KIFV)
https://web.archive.[...]
2011-10-18
[5]
웹사이트
S&T Dynamics Defence Industry Mobile Equipment X200-5K
https://web.archive.[...]
S&T Dynamics
2010-12-24
[6]
웹사이트
Korean Infantry Fighting Vehicle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
[7]
뉴스
Hanwha Unveils K200 Multi Purpose Vehicle Upgrade Plan
https://armyrecognit[...]
Armyrecognition.com
2017-10-22
[8]
웹사이트
Doosan Defense Product: Korean Infantry Fighting Vehicle
https://web.archive.[...]
Doosan DST
2010-08-16
[9]
웹사이트
K200 crossing river with Metis-M
https://web.archive.[...]
emilitarynews
2010-08-21
[10]
뉴스
CMI Defence and Doosan to develop new KIFV tracked armoured with CPWS weapon station
http://armyrecogniti[...]
Armyrecognition.com
2015-11-11
[11]
웹사이트
RoK Army receives initial batch of locally developed mortar system
https://www.janes.co[...]
2022-02-08
[12]
웹사이트
Korean Infantry Fighting Vehicle K-200
https://www.globalse[...]
Global Security
2023-07-30
[13]
웹사이트
"[한국무기 디테일] ⑭ 각본 없는 드라마, K200 장갑차 말레이시아 수출에 얽힌 일화"
http://www.securityf[...]
Security Fact
2023-07-30
[14]
웹사이트
KIFV Infantry Fighting Vehicle - Military-Today.com
http://www.military-[...]
[15]
웹사이트
Doosan Korean Infantry Fighting Vehicle (KIFV)
http://www.janes.com[...]
Jane's
2010-08
[16]
웹사이트
Doosan DST History
http://defense.doosa[...]
Doosan DST
2010-08
[17]
웹사이트
The Market for Light Tracked Vehicles (2010~2019)
http://www.forecasti[...]
ForecastInternational
2010-08
[18]
웹사이트
The Market for Light Tracked Vehicles (2009~2018)
https://docs.google.[...]
ForecastInternational
2010-08
[19]
웹사이트
S&T Dynamics Defence Industry Mobile Equipment X200-5K
http://www.hisntd.co[...]
S&T Dynamics
2010-12
[20]
웹사이트
Korean Infantry Fighting Vehicle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
2010-08
[21]
웹사이트
Doosan Defense Product: Korean Infantry Fighting Vehicle
http://www.doosan.co[...]
Doosan DST
2010-08
[22]
웹사이트
K200 crossing river with Metis-M
http://www.emilitary[...]
emilitarynews
2010-08
[23]
뉴스
"속도 2배·무게 1/2"...신개념 다목적 장갑차로 10년내 전량 교체
서울경제
2017-12-29
[24]
뉴스
"'두꺼비의 번식력 처럼'…국산 기동전력의 모태 'K200 장갑차'"
이데일리
2017-02-19
[25]
뉴스
"두산인프라코어, 세계 장갑차 경연장 보스니아서 맹활약"
매일경제
2007-10-22
[26]
논문
K200 보병전투차의 성능과 운용 전술
2008-02-11
[27]
서적
같은 책, 54쪽
[28]
서적
같은 책, 55쪽
[29]
웹인용
K-200
http://www.jcs.mil.k[...]
2008-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